사회 사회일반

이젠 종이컵·빨대도 못쓰는데…소규모 카페 "부담된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02 05:00

수정 2022.09.02 05:00

11월 24일부터 카페·식당 일회용품 제한 확대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규제가 시행된 지 6개월째가 됐다. 오는 11월 24일부터는 일회용 종이컵과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젓는 막대 등이 일회용품 사용제한 품목에 새로 추가된다.

이처럼 갈수록 강화되는 일회용품 사용규제에 대한 매장도 대응에 나섰지만 규모별로 온도차가 극명했다.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발빠르게 대응을 마친 상대다. 반면 소규모 개인 매장은 여력 부족으로 대응에 어려움을 토로한다.
더불어 소비자들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환경을 위한 규제는 필요하다면서도 갈수록 강화되는 규제가 효과가 있는지 의문을 표했다.

개인 매장 "규제 따르지만 비용 걱정"

2일 기자가 방문한 서울 시내 개인 카페 5곳 중 3곳은 매장 내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컵 또는 일회용 종이컵을 사용하고 있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 4월부터 매장 내 일회용 플라스틱 컵 규제가 시행했다. 다만 단속은 실시하지 않았다.

매장 내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는 서울 영등포구 카페 점주 A씨는 "직장인 테이크아웃이 많은 여의도 특성상 아직 일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다"며 "규제 강화에 맞춰 준비할 예정이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아 걱정이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는 대부분 실내에서는 머그컵 등 다회용 컵을 사용해 규제에 대한 적응을 마무리했다. 나아가 테이크아웃의 경우에는 텀블러 사용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 같은 개인 매장과 프랜차이즈 매장 간의 온도차는 앞으로 더 심화될 전망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오는 11월 24일부터 카페를 포함한 음식점 내 일회용품 사용 규제 범위가 확대된다. 현행 일회용 플라스틱 컵 금지에 더해 일회용 종이컵·플라스틱 빨대·젓는 막대 사용도 금지된다. 이어 오는 12월에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 3만8000여개를 중심으로 일회용컵 반환제도도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그간 유예하던 단속도 재개한다. 지침을 어길 경우 과태료 최대 300만원이 부과된다.

관련해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는 대비를 마쳐 문제없다는 분위기다. 매장 내 사용하던 일회용 나이프 등을 모두 다회용기로 교체했고, 종이빨대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일회용컵 반환 제도도 준비 중이다.

엔제리너스·크리스피크림 등을 운영 중인 롯데 GRS 관계자는 "현재 매장에서는 빨대 없이도 마실 수 있는 '드링킹 리드'(뚜껑) 등을 사용하고 있다"며 "오는 11월부터 전 매장에 종이빨대를 도입한다"고 전했다.

반면 소규모 개인 매장은 규제를 따라가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했다.

서울 용산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강모씨(42)는 "환경에 평소에 관심이 많아 규제에 찬성한다"면서도 "우리 매장은 생분해 PLA(생분해 가능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고 있는데, 친환경이라 구비했는데 이것도 규제 대상인지 명확한 지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9년째 카페에서 일하며 카페 창업을 준비하는 서울 성북구의 이모씨(28)는 "소규모 카페가 규제안을 신속히 받아들이기 부담스럽다"며 "스무디나 버블 음료 등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으면 먹기 힘든 음료 종류도 있다. 일회용컵 반환 제도는 개인 카페로 확대된다면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경 도움" "규제 과해" 소비자도 혼란

일회용품 규제에 대해 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도 혼란스럽다는 의견이 있었다. 대부분이 환경을 위한 규제에는 찬성이지만 제도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만난 직장인 송모씨(38)은 "환경에 도움이 된다면 시행해야 하는 게 맞지만, 종이컵까지 규제는 좀 과한 거 같다"며 "규제를 통해서 얼마나 탄소 배출이 감축되는지 등 시민들을 설득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관련해 자원순환과 재활용에 관한 활동을 지속해온 백나윤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개인 카페나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은 대형 프랜차이즈에 비해 대비가 어렵겠지만 동참해야 할 정책"이라며 "기후 위기나 플라스틱 문제 등에 모두가 대처하고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백 활동가는 "바이오 플라스틱 빨대 등 현장의 의견을 청취해 단계적으로 점차 줄여나가는 방법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wongood@fnnews.com 주원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