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제약회사 화이자가 2020년 미국 대선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방해하기 위해 코로나19 백신 완성 사실을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돼 미국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뉴욕 맨해튼연방지검이 최근 이같은 제보를 받아 관계자 증언을 청취했다고 보도했다.
화이자의 백신 개발 늑장 발표 의혹은 지난 대선 직후 처음 제기됐다. 대선일은 2020년 11월 3일이었고, 화이자는 이로부터 엿새 후인 11월 9일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당시 대선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 문제가 최대 현안이었다.
하지만 화이자는 이 사실을 대선 이후에 발표했고,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응을 비판한 조 바이든 후보가 반사 이득을 얻고 당선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SNS에 "화이자가 대선이 끝난 뒤에야 백신 개발 사실을 발표한 것은 '정치적 이유'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이 사안이 단순한 음모론에 머물지 않고 검찰로 넘어간 이유는 영국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맨해튼연방지검에 "화이자가 고의로 코로나19 백신 개발 사실을 늦췄다"고 제보했기 때문이다.
화이자에서 백신 개발을 이끈 연구자 필 도미처가 GSK로 이직한 뒤 동료들에게 '코로나19 백신 완성 사실을 대선 이후로 미뤘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지난해 말 도미처에게 접수된 제보 내용의 사실 여부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GSK를 그만둔 도미처는 코로나19 백신의 긴급 사용승인을 받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제보 속의 발언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화이자는 아직 검찰 수사를 받지 않은 상황이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수천 명의 임상시험 자원봉사자와 규제 기관의 노력 덕분에 가능했다"며 "어떠한 부당한 주장에 대해서도 근거가 없다는 점을 설명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