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화에어로 유증 논란?... 유럽 방산은 '몸집 키우기' 사활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24 15:56

수정 2025.03.24 18:16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생산하는 다연장로켓 발사 시스템 'K239 천무'. 뉴시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생산하는 다연장로켓 발사 시스템 'K239 천무'. 뉴시스

최근 1년간 유럽 주요 방산기업 등 투자 현황
업체
라인메탈 -독일 운터뤼스에 3억유로 규모의 대구경 탄약 생산공장 착공, 연간 약 20만 발의 포탄 생산 예정.
-리투아니아 바이소갈라에 약 1억8천만유로 규모의 155㎜ 탄약 공장 건설 중.
-헝가리 바르팔로타에 신규 30㎜ 탄약 공장 설립
-우크라이나 방산기업 우크로보론프롬과 최대 4개 공장 공동 건설 추진.
-이탈리아 정부와 스카이넥스(Skynex) 방공 시스템 구축 위한 2억8900만유로 계약 체결.
-이탈리아 레오나르도와 군용 차량 생산 합작회사 설립
BAE시스템즈 -영국 셰필드에 2500만파운드 규모 신규 자주포 생산시설 건설 및 운영 개시
-스웨덴 Gullänget 지역에 5억6000만크로나 규모 생산 및 정비 시설 건설 중(내년 완공 예정)
KNDS -라인메탈, 탈레스와 함께 독일 쾰른에 차세대 전차(MGCS) 개발 합작사 설립
MBDA -138억유로 규모 미사일 신규계약 확보 및 생산량 2배 확대 예정
폭스바겐 그룹 -자동차 공장을 개조해 방산 장비 공장으로 개조 검토

[파이낸셜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3조6000억원 유상증자가 국내에서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방산 기업들은 세계적인 방위비 증대 추세에 맞춰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인메탈은 독일에 3억유로를 투자해 탄약 생산공장을 짓고, BAE시스템즈는 영국에 2500만파운드를 투자해 신규 자주포 생산시설을 건설한다. 전문가들은 K-방산의 최대 무기가 신속 납기인 만큼, 현지 생산시설 확보와 시설 투자로 강점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주요 방산기업들은 최근 1년간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후보로 나서면서부터 방위비 증액 압박이 현실화될 것을 예상한 선제 전략으로 풀이된다.



레오포드 전차 등으로 유명한 독일 최대 방산기업 라인메탈은 독일에 3억유로(약4766억원) 규모의 대구경 탄약 생산공장을 착공해 연간 약 20만 발의 포탄을 생산할 예정이다. 리투아니아에도 약 1억8000만유로(약 2860억원)의 155㎜ 탄약 공장을 건설 중이다. 이탈리아 정부와는 스카이넥스 방공 시스템 구축을 위한 2억8900만유로(약 4593억원)의 계약을 체결했다.

유럽 최대 방산업체 중 하나인 BAE시스템즈는 영국 셰필드에 2500만파운드(약 475억원) 규모의 신규 자주포 생산시설 건설 및 운영을 시작했다. 스웨덴에도 5억6000만크로나(약 812억원) 규모의 생산 및 정비 시설이 내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 외에도 유럽 미사일 제조사 MBDA는 138억유로(약 21조9318억원)를 투자해 미사일 생산량을 2배로 확대했고, 폭스바겐그룹은 자동차 공장을 개조해 방산 장비 공장으로 개조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유럽 방산업체들의 대규모 투자 확대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방위비 압박에 따른 사전 투자로 보고 있다. 실제 도널트 드럼프 미국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하면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회원국들에게 GDP의 5%를 방위비로 지출할 것을 압박하며 이 같은 예측이 현실화됐다.

이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최근 총 8000억유로(약 1265조원)를 동원해 '유럽 재무장'을 추진한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다만 1500억유로(약 237조원)는 '메이드 인 유럽' 무기에 사용된다. 프랑스와 독일 등 방산업체들의 K-방산 견제가 한층 심화될 수 있는 부분이다.

장원준 전북대 방위산업융합과정 교수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무기 구매가 시급한 동유럽과 북유럽 국가들에게는 가성비가 뛰어나고 신속 납기가 가능한 K-방산에 대한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며 "수주 확대와 더불어 유지·정비·보수(MRO) 등 애프터 마켓 시장 확보를 위해서라도 현지화를 통해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럽 재무장을 지원하는 협력자 관점에서 지분 투자와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간접 수출을 늘리고 첨단 기술을 확보하는 방향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