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검찰·법원

'무자본 갭투자' 오피스텔 10채 90억 가로챈 총책, 2심 징역 15년

뉴스1

입력 2025.04.05 09:01

수정 2025.04.05 09:01

ⓒ 뉴스1
ⓒ 뉴스1


(서울=뉴스1) 윤다정 기자 = 수도권 일대 오피스텔 수십 채를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취득하는 과정에서 금융기관과 전세 피해자로부터 약 90억 원을 가로챈 총책이 2심에서 징역 15년을 선고받아 형량이 늘었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형사13부(부장판사 백강진 김선희 유동균)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기소된 신 모 씨(62)의 항소심 선고기일을 열고 징역 12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임대차보증금 사기 피해자가 부동산 매각대금에서 일부 우선변제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기망행위를 통해 얻은 금액 전부에 대해 사기죄가 인정된다고 본 원심 판단은 정당하다"고 판시했다.

또한 "이 사건 범죄는 경제적 약자 및 청년들의 주거복지를 위한 전세보증금 대출 제도를 악용하고 다수의 선량한 임대인에 대한 신뢰를 저해함으로써 주택 공급과 임대 시장을 교란했다"며 "임차인에게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보증금을 상실할 수 있는 위험에 빠지게 해 극심한 정신적·경제적 고통을 겪게 하는 등 사회적 폐해가 극심하다"고 질타했다.

함께 기소된 모집책 전 모 씨에 대해서는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하고 "실형이 집행될 확률이 높은 이상 도망의 우려가 있다"며 법정구속했다.

신 씨는 2018년 7월~2023년 2월 무자본 갭투자로 서울·경기 소재 오피스텔 10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모집책 3명을 통해 허위 임차인 8명을 모집해 금융기관 5곳으로부터 불법 대출을 받아 20억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신 씨는 2019년 5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보증금 반환 의사나 능력이 없는 상태에서 임차인(피해자) 15명과 오피스텔 15채에 대한 전세 계약을 체결한 보증금 약 34억 원을 가로챈 혐의도 있다.

금융기관을 상대로 전세 계약 사실을 숨기고 공인중개사를 통해 위조 월세 계약서를 제출해 주택담보대출금 합계 약 36억 원을 편취한 혐의도 함께 적용됐다.

1심은 앞서 지난해 12월 신 씨에게 징역 12년을 선고했다. 전 씨는 징역 1년 6개월을, 다른 모집책 3명은 각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허위 임차인 역할을 한 6명에 대해서는 각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됐다.

1심 재판부는 "범행이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뤄졌고 피해자 수가 매우 많다"며 "편취금액도 91억 원에 달하는데 일부 대출금 상환 이외에는 피해 회복도 거의 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