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운명의 날을 맞은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오전 한남동 관저에서 TV로 생중계되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과정을 지켜본다.
대통령실과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질서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이유로 이날 오전 11시 탄핵 심판 선고가 열리는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출석하지 않는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8일 석방된 후 한남동 관저에 칩거하고 있다. 탄핵 심판과 관련해서는 별도의 메시지를 내지 않는 등 침묵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탄핵 심판 선고 전까지는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차분하게 헌재 선고를 기다릴 것"이라는 기조 속에 평상시와 같이 출근하고 업무를 이어가고 있다.
대통령실은 전날부터 주변 경비를 강화하는 등 탄핵 인용과 직무 복귀에 모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만큼 탄핵 선고 결과와 관련해서 극도로 말을 아끼는 모습이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한 주요 참모진들이 이날 관저를 찾을지 여부도 미정이다.
다만 대통령실 일각에서는 "기각이나 각하가 상식적으로 맞는다고 본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등 윤 대통령 직무 복귀를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탄핵소추가 기각·각하될 경우 윤 대통령은 즉시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업무보고 등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직무 복귀 시 국무회의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열 것으로 보인다.
여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할 가능성도 있다. 담화는 윤 대통령이 직접 작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도 환영 메시지 등을 낼 것으로 보인다.
반면 탄핵소추가 인용되면 윤 대통령은 즉시 파면된다. 이 경우 국민통합 차원에서 윤 대통령이 승복 메시지를 낼지 여부가 관심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관저 앞에 모인 지지자들을 상대로 메시를 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지만 윤 대통령 측과 대통령실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윤 대통령은 탄핵이 인용되면 서초동 사저로 복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탄핵 심판과 별도로 진행 중인 내란 혐의 수사에 대비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